유약의 성분
(1) 규산염(Silicates)
규산염은 유약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주요 성분이다. 주로 석영(Quartz, SiO2)이나 장석(Feldspar)이 사용되며, 유약이 가열되면서 유리질로 변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규산염은 유약이 단단하게 굳어지도록 돕고, 광택과 투명성을 부여한다.
(2) 알칼리 금속 산화물(Alkali Metal Oxides)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유약의 용융 온도를 낮추고, 유약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주요 성분으로는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리튬(Li2O) 산화 리튬 등이 있다. 이 성분들은 유약의 유동성을 조절하며, 특정한 질감과 색상을 구현하는 데 기여한다.
(3) 안정제(Stabilizers)
유약이 너무 흐르거나 깨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안정제는 주로 산화알루미늄(Al2O3)과 같은 물질이 포함된다. 이 성분은 유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표면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착색제(Colorants)
유약에 색을 부여하는 성분으로 금속 산화물이 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착색제 성분은 다음과 같다.
산화철(Fe2O3) – 적색, 갈색 계열의 색을 떼게 함
산화구리(CuO) – 녹색 및 청록색 유약을 형성
산화코발트(CoO) – 청색 계열의 색상을 구현
산화망간(MnO) – 자주색 및 갈색 톤을 부여
(5) 불투명에(Pacifiers)
유약의 투명도를 낮추어 불투명한 질감을 만드는 성분으로 산화주석(SnO2)과 산화지르코늄(ZrO2)이 사용된다. 이러한 성분들은 유약의 표면을 뽀얗게 만들고, 색상이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돕는다.

성분별 역할과 특징
각 성분은 상호 작용하면서 유약의 성질을 결정한다. 유동제(Flux)는 유약이 낮은 온도에서 녹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안정제(Stabilizer)는 유약이 너무 흐르지 않도록 조절한다. 착색제(Colorants)와 블루투스 명제(Pacifiers)는 유약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유약 성분이 도자기에 미치는 영향
유약의 성분 조합에 따라 도자기의 최종적인 특성이 크게 달라진다.
광택(Glossiness) : 규산염과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며, 높은 규산염 함량은 광택을 증가시킨다.
질감(Texture) : 안정제의 함량이 많을수록 거친 질감을 만들 수 있으며, 낮을수록 매끈한 표면을 형성한다.
색상(Color) : 착색제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으며, 가마의 소성 분위기(산화 소성, 환원소성)에 따라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유약 성분 조합의 예시
전통 유약 : 장석, 석회석, 목재 재 등의 자연 광물을 활용하여 제작
현대 유약 : 인공적으로 합성된 화합물을 포함하여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개발
유약 개발의 최신 동향
최근에는 환경친화적인 유약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무연 유약(Lead-Free Glaze), 항균 기능이 있는 유약, 그리고다양한 텍스처를 구현할 수 있는 나노 소재 기반 유약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최신 기술은 도자기의 안전성과 미적 가치를 동시에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1) 친환경 유약 개발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무연 유약(Lead-Free Glaze)과 같은 친환경 유약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유약에 포함된 납 성분은 인체와 환경에 유해할 수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낮은 온도에서 소성이 가능한 유약이 개발되어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2) 항균 및 기능성 유약
위생적인 요구가 증가하면서 항균 기능을 가진 유약이 연구되고 있다. 일부 유약에는 은(Ag) 나노입자나 구리(Cu) 성분을 포함하여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래치 방지 기능이 있는 내구성 강화 유약도 개발되어 실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3) 나노 소재 기반 유약
최근에는 나노 기술을 접목하여 더욱 정밀한 표면 질감을 조절할 수 있는 유약이 개발되고 있다. 나노 크기의 산화물 입자를 포함한 유약은 더 균일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색상의 선명도를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나노 소재를 활용하여 발수 기능을 갖춘 유약도 개발되고 있다.
(4) 디지털 프린팅 유약
디지털 기술과 유약을 결합하여 다양한 패턴과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유약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핸드페인팅 방식보다 정밀한 표현이 가능하며, 대량 생산에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창의적인 도자기 제작이 가능해지고 있다.
도자기 유약은 다양한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각 성분은 도자기의 외관과 물리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약 성분을 적절히 이해하고 조절하는 것이 도자기 제작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앞으로도 기술 발전에 따라 더욱 다양한 특성을 지닌 유약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자기 공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자기를 소재로 한 영화 2 (0) | 2025.03.30 |
---|---|
도자기를 소재로 한 영화 이야기 1 (0) | 2025.03.29 |
도자기 핸드페인팅의 종류 (0) | 2025.03.28 |
전사지로 그림그리기 (1) | 2025.03.25 |
세계의 도자기로 유명한 도시들 (0) | 2025.02.02 |
옹기토란? (2) | 2025.02.01 |
도자기 그릇의 장점 (1) | 2025.02.01 |
도자기 점토란 (1) | 2025.01.30 |